한은 대출 금리 동결
한은 금융 통화 위원회가 기준 금리를 연 3.5%로 동결하였습니다. 2월과 4월에 이어 세 번 연속 금리를 유지 하고 있는데, 이번에 또다시 유지을 알리하면서 통화 정책 방향 의결문 전문을 공개했하였습니다. 물가 상승이 위축 흐름을 지속 하겠지만 수 기간 목표 수준을 상회할 것으로 에측하였으며, 세계 경제는 예상보다 다양한 성장 흐름이지만, 성장세가 점차 둔화 할것으로 예상할 것이라고 공시하였습니다. 또한, 글로벌 인플레이션은 침체 흐름을 이어가고 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소비가 서비스를 중심으로 완만한 회복세를 보였지만 수출과 투자 위축이 이어지면서 성장 곡선이 지속적으로 위축되는 현상이라고 전했습니다. 마지막으로 국내 경제 지표는 낮은 성장세를 이어가겠지만 물가 상승률은 상당 기간 목표 수준을 상회할 것 이라고 추측 하였습니다.
무엇보다 최대 교역국인 중국의 리오프닝, 즉 경제 활동 재개 효과가 지연되고 있는 점이 악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중국의 수출은 지난해 6월부터 지난달까지 11개월째 저조를 보이고 있으며. 이달 들어서도 23% 이상 크게 약화하였습니다. 수출이 수입보다 낮아지며 무역 적자는 14개월째 유지되고 있는데 지난 1995년 1월 ∼ 1997년 5월 이후 처음이며, 무엇보다 반도체 분야 부진이 제일 크게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현재 미중 반도체 전쟁 사이에서 선택을 강요 받는 위치에 서 있습니다. 미국의 선제적 조치에 중국이 마이크론 제재로 보복에 나서면서 한국 정부와 반도체 기업은 ‘대체자 역할’을 강요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깊어지고 있습니다. 정작 ‘무역 전쟁’을 벌이는 미중의 지난해 무역량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싸울 땐 싸우더라도 얻을 건 반드시 얻어야 한다는 걸 미국과 중국은 이미 알고 있는것으로 행동하고 있습니다.
이날 처음으로 통화 정책 방향 결정 회의에 합류한 박춘섭·장용성 신임 금통위원의 습성이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도 관심사입니다. 박 위원은 기획 재정부 ‘예산라인’ 출신으로, 취임사에서부터 긴축 기조에 따른 경기 부담을 언급하는 등 ‘비둘기파’ 성향을 보일 것이라는 관망이 유력하였습니다. 장 위원은 뚜렷한 성향을 보이지 않지만, 윤석열 대통령의 경제 자문기구에 몸담았던 만큼 실물 경제와 경기 약화를 경계하는 성향을 드러낼 수 있다는 해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한은 금통위의 다음 통화 정책 방향 결정 회의는 7월에 열리는데, 이때까지 기준 금리가 3.50%로 지속되는 가운데, 시장과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연내 금통위가 기준 금리를 인하할 지 여부를 놓고 엇갈린 전망을 내놓고 있다고합니다.
금리 인하 시기 상조
물가 상승률이 위축하고 있지만 목표치인 2%대에 다다르지 못하고, 물가의 기조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근원물가(에너지·식품 제외) 상승률은 4%에서 좀처럼 인하되지 않는 탓에 연내 기준 금리 인하는 시기 상조라는 검토이 지배적이라고 판단됩니다. 연준이 한 차례 ‘베이비스텝’(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을 단행할 가능성도 있는 가운데 한국은행이이 먼저 기준 금리를 인하하면 한미 금리 역전 격차는 2.0%포인트 이상으로 벌어질 수 있다는 점도 한국은행이에는 부담으로 보입니다. 신얼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아파트 가격 하락세가 축소되고 대출 금리 하락으로 가계 대출 제한이 우세해지는 등, 부동산과 대출 관련 금융 안정을 저해하는 정책 조정은 지연될 가능성이 높다”고 발표한바 있습니다. 반면 우석진 명지대 경제학과 교수는 “내년 총선을 앞두고 정치권에서 금리 인하 압력이 높아질텐데, 한국은행이이 이를 완전히 무시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전하고 있습니다.
금리 변동성 재고
앞으로 소비자 물가 상승은 1~2월 중에도 5% 내외를 상회하다가 이후 점차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나 국내외 경기 약화폭, 누적된 비용 인상 압력의 전가 정도, 환율 및 국제 원자재 비용 움직임 등과 관련한 관측의 불확실성이 큰 상황입니다. 특히, 그동안 국내 에너지 요금은 국제원자재 요금 급등에 따른 인상 부담을 정부와 공공 부문이 일정 부분 흡수하면서 인상폭이 주요국에 비해 크지 않았는데, 금년에는 이렇게 누적된 요금인상 압력이 점차 가격에 반영되면서 국내 물가 증가세가의 침체 속도를 늦추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관측됩니다. 또한 환율과 국제 원자재 가격의 경우 최근 원/달러 환율이 1,200원대 중반으로 줄어지고 국제 유가도 70달러대에서 등락하는 모습이지만 주요국 통화 정책 변화, 방역조치 완화 이후 중국 경제의 회복 속도, 지정학적 리스크의 전개 상황 등에 따라서는 변동성이 재차 확대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정보제공 : 이지론 (ezloan.io)